728x90
반응형
local VM에 fluent 구성하기!
사전 준비
먼저 fluent 설치 이전에
ruby(3.0이상)
과bundler
를 설치해야 한다.
밑준비
1. Ruby와 Passenger빌드에 필요한 헤더파일 설치
yum install openssl-devel readline-devel zlib-devel curl libyaml-devel
2. Apache 설치
yum install httpd httpd-devel
3. ImageMagick 설치
yum install ImageMagick ImageMagick-devel
ruby 설치
1. local 위치로 들어가기
cd /usr/local
2. 루비 tar파일 가져오기
wget http://cache.ruby-lang.org/pub/ruby/3.1/ruby-3.1.0.tar.gz
여기서는 3.1.0을 해주었는데, 그 이유는 2022-12-07 작성 기준 fluent가 ruby 3.0이상 버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혹시 이후에 변경되면 https://cache.ruby-lang.org/pub/ruby/ 해당 위치에서 버전을 확인해주어서 원하는 버전으로 진행하면 된다.
3. tar파일 풀기
tar zxvf ruby-3.1.0.tar.gz
4. 해당 위치로 이동
cd ruby-3.1.0
5. 설치
./configure
make
make install
make clean
다 y눌러주면서 쭈루루루룩 진행해주면 된다.
6. ruby 설치 및 버전 확인
ruby -v
Bundler 설치
gem install bundler --no-rdoc --no-ri
Fluentd 설치
https://docs.fluentd.org/installation/install-from-source
해당 문서를 보고 진행함.
1. fluentd 설치 위치 열기
cd /root/fluentd
root의 fluentd 위치에 만들어줄것이다.
이게 싫으면 알아서 설정할것.
2. fluentd 소스코드 가져오기
git clone https://github.com/fluent/fluentd.git
3. Build and install
bundle install
여기서 혹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버전을 한번더 확인해보면 될것이다.
bundle exec rake build
여기 이제 fluentd의 버전이 나타날것이다.
gem install pkg/fluentd-위에서뜬버전.gem
4. Run
fluentd --setup ./fluent
$ fluentd -c ./fluent/fluent.conf -vv &
echo '{"json":"message"}' | fluent-cat debug.test
반응형
'이론 정리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4, L7 (0) | 2025.01.22 |
---|---|
쿠버네티스에서 말하는 Stateless가 뭘까? (0) | 2025.01.21 |
네트워크 입문 002 (0) | 2022.11.13 |
API프로토콜(REST, gRPC, GraphQL)에 대해 (0) | 2022.10.30 |
OSI7계층 (1)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