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ave랑 saveAll(feat. Transactional)
Spring Data JPA를 통해 다양한 쿼링을 쉽게 해줄 수 있다.
근데 만약에 여러 insert를 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 어쩔까??
상황
일단 Spring Data JPA에 대해 안다고 가정한다.
여러 값을 저장할 때에
save방식
넣을값들.forEach(
index -> 저장레포지터리.save(index)
)
이거랑
saveAll방식
저장레포지터리.saveAll(넣을값들);
의 차이가 뭘까??
save
일단 save를 한번 본다.
saveAll
이제 saveAll을 본다
뭐가 다른겨?
사실 saveAll을 보면
- 최초에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해당 함수 내에서 save함수 실행
- 저 save는 save함수임
이렇게 간다.
얼핏 보기에는 어차피 저기서 불러주는 거니까 똑같고, 그냥 save들을 편하게 하려고 saveAll을 쓰는 것처럼 보인다.
한번 여기에서 기본 설명이랑 propagation을 보고 오자.
propagation에서 REQUIRED가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REQUIRED는 상위 트랜잭션을 살펴보고, 부모 트랜잭션이 있으면 거기 참여하고 없으면 새로 생성하는 로직이다.
근데 한가지 추가사항은 바로 Bean객체 내에서 내부 함수를 호출하면 Transaction 어노테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saveAll은 그니까
- 최초에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AOP를 통해 전체 값들의 ACID를 보장하는 proxy 객체 생성!
- 해당 함수 내에서 save함수 실행
- save함수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아예 타지 않는다
- save함수 로직만 실행
이렇게 된다.
그럼 save함수 여러개는??
하나하나 실행한다고 하면
- save실행
- 여기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propagation 옵션을 통한 추가옵션 수행
- 이후 save로직 수행
- propagation 옵션을 통한 추가옵션 수행
- 여기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다음 for문에서 save 실행
- 또 servive에서 bean객체내의 save메서드 호출
-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끼요오옷
-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실행
- 또 servive에서 bean객체내의 save메서드 호출
- 계속 이렇게 간다.
이런식으로 진행된다.
그럼 비교하자면
- saveAll은 동일 bean객체(둘다 repository내에 구현되어싰음)내에서 save함수의 로직만 실행
- save의 경우는 외부 bean이 AOP로 돌아가서 매번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기능 확인
이렇데 된다.
따라서
saveAll()을 사용하면 여러번 트랜잭셔널 확인 없이 동작해서 시간낭비를 줄일수 있다!!
라는 것.
그니까 다수의 insert진행시 saveAll()을 쓰자구요
반응형
'백엔드 공부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의 self invocation, 이유와 해결법 (1) | 2023.05.18 |
---|---|
querydsl에서 다대다 구현하기. 일대다-다대일(feat. Result Aggregation) (2) | 2023.02.21 |
lucy필터로 xss 방어하기(feat JSON, time, 이모지) (0) | 2022.06.27 |
Spring boot를 통한 REST API구현 - 이론(3) (0) | 2022.02.28 |
Spring boot를 통한 REST API구현 - 실습(3)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