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정리/java

Reflection??

철매존 2023. 1. 26. 23:44
728x90

Reflection??

구체적인 클래스 타입을 알지 못해도 그 클래스의 메서드와 타입, 변수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java API

이는 클래스로더를 통해 읽어온 클래스 정보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읽어오거나, 인스턴스를 만들거나, 메서드를 실행하거나, 필드의 값을 가져오거나 변경하는 등의 행위가 가능하다.

사용법

  • 특정 annotation이 붙어있는 필드 또는 메서드 읽어오기(JUnit, Spring)
  • 특정 이름 패턴에 해당하는 메서드 목록 가져와 호출하기(Getter, Setter)

Reflection

  • 먼저 Spring은 어떻게 실행시점에 bean을 주입할 수 있을까?
  • 또, JPA의 Entity는 왜 꼭 기본 생성자를 가져야만 할까??

상단의 두 질문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리플렉션이다.

reflection이란, 반사 혹은 관통을 의미한다.
즉 실체를 반사시키는 것이라는 건데, java에서는 실체가 클래스이고 거울이 JVM메모리 영역이다.

  1. 먼저 java에서는 컴파일러가 소스코드를 바이트코드로 바꾸어 준다.
  2. 클래스 로더는 이 바이트코드를 읽어 JVM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3. 리플렉션은 이 JVM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클래스의 정보를 꺼내 와서 필요한 정보들(생성자, 필드, 메서드들)을 가져와 사용하는 기술이다.

참고로 C, C++, Pascal등의 언어는 reflection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리플렉션이 제공하는 기능들

리플렉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class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Class란, 실행중인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가진 클래스

이다.
그렇기 때문에

  • 클래스에 붙은 어노테이션 조회
  • 클래스 생성자 조회
  • 클래스 필드 조회
  • 클래스 메서드 조회
  • 부모 클래스, 인터페이스 조회

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왜냐면 이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public 생성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class객체는 대신 JVM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래서 이렇게 자동으로 생성된 클래스 객체를 가져오는 방법은

1. {클래스타입}.class 를 이용해서 가져오기

Class<?> clazz = Dog.class;

이런 식으로 ClassType.class를 이용해 가져올 수 있다.

2. {인스턴스}.getClass()

God chan = new God("류찬");
Class<?> clazz = chan.getClass();

또한 이런 식으로 getClass를 사용하여 호출할 수도 있으며

3. Class.forName("{전체 도메인 네임}")

Class<?> clazz = Class.forName("org.example.Dog")

이와 같이 forName 메서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주의점

위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getMethodsgetDeclaredMethods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의 차이로는

  • getMethods
    • 상위 클래스와 상위 인터페이스에서 상속한 메서드를 포함하여 public인 메서드들을 모두 가져옴
  • getDeclaredMethods
    • 접근 제어자와 관계 없이 상속한 메서드를 제외하고 직접 클래스에서 선언한 메서드들을 모두 가져온다.

가 있다.
Class에는 get~~~ getDeclared~~~~ 등등이 있어서 이들을 잘 구분해서 써야한다.

코드로 알아보기

public class Dog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ATEGORY = "동물";

    private String name;
    public int age;

    private Dog() {
        this.name = "누렁이";
        this.age = 0;
    }

    public Dog(final String name) {
        this.name = name;
        this.age = 0;
    }

    public Dog(final String name, final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여기서는 name, age 두가지 필드와, 3개의 생성자가 존재한다.

이거를 한번 객체를 생성해 보면

Class<?> clazz = Class.forName("org.example.Dog");

Constructor<?> constructor1 = clazz.getDeclaredConstructor();
Constructor<?> constructor2 = clazz.getDeclaredConstructor(String.class);
Constructor<?> constructor3 = clazz.getDeclaredConstructor(String.class, int.class);
  1. 위에서 만든 Dog클래스를 일단 Class.forName으로 class타입 객체로 가져온다.
  2. getDeclaredConstructor()를 사용하여 생성자를 Constructor라는 타입의 객체로 가져올 수 있다.
  3. 여기서 constructor1,2,3이 있는데, 이들은 위에서 설정해둔 각각의 타입을 갖는 생성자를 가져와준 것이다.

이제 이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면

Object dog1 = constructor1.newInstance();

이렇게 newInstance() 메서드를 사용하여 생성자에서 객체를 생성하려 하면?

요런 에러가 발생한다.

내용을 보면 private형태여서 접근이 안된다는 것인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constructor1.setAccessible(true);
Object dog1 = constructor1.newInstance();
Object dog2 = constructor1.newInstance("호두");
Object dog3 = constructor1.newInstance("호두", 5);

요런 식으로 setAccessible(true) 를 사용하면, private생성자에도 접근이 가능하다.

ㅇㅇ

이제 필드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인데,

Object dog = constructor.newInstance("호두", 5);

Field[] fields = clazz.getDeclaredFields();

for(Field field : fields) {
    field.setAccessible(true);    // private에의 접근을 위해
    System.out.println(field);
    System.out.println("value:" + field.get(dog));
    System.out.println("------------------------------");
}

이런 식으로 getDeclaredFields()메서드를 사용하면 field라는 타입의 객체로 class객체를 받아올 수 있다.

이렇게 잘 출력된다.

다음으로는 reflection을 사용한 private필드의 값 변경이다.

Field field = clazz.getDeclaredField("name");
field.setAccessible(true);
System.out.println("기존: " + field.get(dog));
field.set(dog, "땅콩");
System.out.println("변경: " + field.get(dog));

요렇게 값의 변경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메서드에 관련된 기능이다.

그 전에 먼저 Dog클래스에 세가지 메서드를 추가해 준다.

public class Dog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ATEGORY = "동물";

    private String name;
    public int age;

    private Dog() {
        this.name = "누렁이";
        this.age = 0;
    }

    public Dog(final String name) {
        this.name = name;
        this.age = 0;
    }

    public Dog(final String name, final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rivate void speak(final String sound, final int count) {
         System.out.println(sound.repeat(count));
    }

    public void eats() {
        System.out.println("사료를 먹습니다.");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

이렇게 speak, eats, getAge메서드를 추가해 주었다.
그래서 이제

Method[] methods = clazz.getDeclaredMethods();
for(Method method : methods) {
    method.setAccessible(true);
    System.out.println(method);
    System.out.println("\n---------------------");
}

getDeclaredMethods() 메서드를 사용해서 모든 메서드들을 가져와주고 내용을 본다.

이런 식으로
접근 제어자, return타입, 메서드이름, 파라미터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Method method = clazz.getDeclaredMethod("speak", String.class, int.class);
method.setAccessible(true);
method.invoke(dog, "멍멍!", 5);

private메서드의 호출도 가능하다.

리플렉션이 사용되는 곳

리플렉션을 평소에 사용하는일이 없다보니까 생소할수 있는데, 사실 많이 쓰인다고 한다.

보통 리틀렉션은

  •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

에서 많이 사용한다.
보통 우리는 코딩할 떄에 객체의 타입을 모르는 일이 거의 없다.

반면,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의 경우는 사용자가 어떤것을 사용하는지 컴파일 시점까지 알 수가 없다.
이런 문제를 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리플렉션을 사용한다.

그래서 이거는

  • JPA
  • Jackson
  • Mockito
  • JUnit
  • 등등등

많은 곳에서 쓰인다.

그리고 intelliJ에서 제공하는 자동완성 기능도 reflection을 사용한 기술이다.

보통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서는 객체의 기본 생성자를 요구한다.

요런 식으로 JPA의 entity나 RequestDTO에서도 ResponseDTO에서도 기본생성자를 필요로 한다.

이 이유도 리플렉션 떄문이다!!

  • 근데 이미 생성자가 있는데 굳이 기본생성자를 왜 만들어 주나??
    • 기본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하고 필드를 통해 값을 넣어주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 만약 기본생성자가 없다면 어떤 생성자를 사용할지 고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 생성자가 엄청 많으면 잘못쓸수도 있고... 생각지 않은걸 쓸수도 있다.
    • 그리고 파라미터의 타입이 같은 경우에는 필드와 이름이 다르면 값을 알맞게 넣어주지 힘들기 때문이다.

요렇게 기본생성자로 객체 생성 후 필드 이름에 맞춰 알맞은 값을 넣어주면 끝이다.

어노테이션의 작동 원리도 리플렉션이다.

어노테이션은 사실 그냥 주석인데, 이게 기능을 갖고 작동하는 이유도 리플렉션 덕분이다.

간단하게 원리를 살펴보면

  1. 리플렉션을 통해 클래스나 메서드, 파라미터 정보를 가져온다.
  2. 리플렉션의 getAnnotation(s), getDeclaredAnnotation(s)등의 메서드를 통해 원하는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지 확인한다.
  3.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면 원하는 로직을 수행한다.

이를 통한 DI 프레임워크 만들기

Spring에서는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손쉽게 객체에 해당하는 의존성을 주입해줄 수 있다.

이를 사용하여 DI가 가능하도록 해본다.

OrderService.java

public class OrderService {
    @Autowired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

OrderRepository.java

public class OrderRepository {
    Map<Integer, Order> orderIdToOrderMap = new HashMap<>();

    public Order getById(Integer orderId) {
        return orderIdToOrderMap.get(orderId);
    }
}

여기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에 대해

@Target(ElementType.FIELD)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Autowired {
}

이렇게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만들어준다.
런타임시 동작할 수 있도록 Retention에서 RUNTIME policy를 설정한다.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 {
    public static <T> T getInstance(Class<T> clazz) throws Exception {
        T instance = createInstance(class);     // 인스턴스 생성
        Field[] fields = clazz.getDeclaredFields();
        for(Field field : fields) {
            if(field.getAnnotation(Autowired.class) != null) {
                Object fieldInstance = createInstance(field.getType());
                field.setAccessible(true);
                field.set(instance, fieldInstance);
            }
        }
        return instance;
    }

    private static <T> T createInstance(Class<T> clazz) throws Exception {
        return clazz.getConstructor(null).newInstance();
    }
}

Application context는 의존성 주입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getInstance는 특정 타입의 클래스를 인자로 받으면, 해당 타입을 return하는 메서드이다.
저기서 createInstance() 메서드를 사용했는데, 이는 Instance를 만들어내는 것이며 reflection을 사용한 것이다.

그래서 이제 내부에서 field를 순회하면서 Autowired라는 class가 있는지 검사한다.
이게 붙어있으면 이제 필드의 타입에 맞는 인스턴스를 createInstance를 사용해서 생성해 준다.
해당 필드가 private일수 있으므로 setAccessible은 true로 한다.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pplicationContext();
        OrderService ord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Instance(OrderService.class);
    }
}

여기서 getInstance() 메서드를 통해 인스턴스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이 DI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해보면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Test {
    @Test
    public void getObject_OrderRepository() throws Exception {
        OrderRepository object = ApplicationContext.getInstance(OrderRepository.class);
        assertNotNull(object);
    }

    @Test
    public void getObject_OrderService() throws Exception {
        OrderService ord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Instance(OrderService.class);
        assertNotNull(orderService);
        assertNotNull(orderService.orderRepository);
    }

}

테스트 해보면

잘 나온다.

reflection의 단점

  • 느림
    • Reflection API는 컴파일 시점이 아니라 런타임 시점에서 클래스를 분석한다.
    • JVM을 최적화할 수 없기 때문에 성능저하 발생
  • 런타임 시점에 클래스 정보를 알게 됨
    • 컴파일 시점에서 타입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음
    • 에러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거임
  • 코드가 지저분해짐
  • 추상화 파괴, 불변성 파괴
    • 접근할 수 없는 필드나 메서드에도 reflection을 통해 접근할 수 있고 모든 클래스의 정보를 알게 된다.

'이론 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erable과 iterator  (1) 2023.02.01
java에서 정적 멤버를 접근하는 방법??(feat.클래스이름)  (0) 2023.01.30
프로토타입 패턴  (0) 2023.01.25
빌더 패턴  (0) 2023.01.25
final  (0) 202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