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pring Boot 관련 회의를 하는데 Fat JAR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근데 이거 처음 들어봐서... 한번 찾아봤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의존성 및 코드를 하나의 JAR파일로 패키징한 것
이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일 JAR파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는것.
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 Fat JAR를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되는 덕분에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배포되는 것이었다!!!
대충 정리해 보면
- Fat JAR
- 의존성을 포함
-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 포함
- Spring Boot는 기본적으로 Fat JAR 사용
- Thin HAR
- 애플리케이션 코드만 포함
- 의존성은 별도 경로에서 로드
- 의존성을 별도로 참조하는 Spring이 이와 비슷한 빌드이다.
- 애플리케이션 -> Thin JAR
- 의존성 라이브러리 -> WEB-INF 등에서 관리
반응형
'이론 정리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Batis 의 cache (1) | 2025.06.09 |
---|---|
동시성 처리에 관한 짧은 고민 (5) | 2025.06.01 |
간단하게 메서드 수행시간 로깅을 해보자! (feat. template callback, annotation) (0) | 2024.07.06 |
Spring boot Transactional rollback test와 Transaction 격리에 관한 소고(feat. requires_new) (4) | 2024.02.13 |
Spring 기본(IoC, DI, Bean) (0)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