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이유 2

JPA가 무엇일까?? 왜 쓸까??

JPA란 Comment 과거에는 SQL을 하나씩 작성하던 것을 JPA가 나타난 후부터는 코드로 작성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럼 JPA가 그에 맞는 sql을 실행해 준다. 속도, 생산성과 유지보수 등에서 훨씬 빨라졌다. 다만 난이도가 어렵다. 실무에서는 JPA를 사용하면 굉장히 어렵다. JPA는 다른 것들에 비해 객체와 테이블을 잘 설계하고 매핑을 해야 한다. JPA의 내부 동작 방식을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다. JPA가 어떤 SQL을 만들어 내고, 언제 실행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기존 SQL을 사용하는 문제점 개발 언어는 주로 객체지향 언어이다 + DB는 주로 RDB(관계형 DB)를 사용한다 => 즉, 객체를 관계형 DB에 관리한다. SQL중심적인 코딩의 문제점 일단 지루함. 코드 완성 후 변경사항이 ..

이론 정리/java 2022.03.01

REST api의 기초

REST Api의 기초 먼저 spring boot에서 @RestController란 @Controller와 @ResponseBody의 조합이다. Controller : Model객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View를 찾아간다. RestController : 객체만을 반환한다. -> 객체는 주로 JSON나 XML형태로 http응답에 담아서 전송한다. Controller는 Spring 2.5버전에서부터, RestController는 spring 4.0버전에서부터 지원되었다. RestController 사용시 모든 메소드가 뷰 대신 객체로 작성된다. REST의 특징 Uniform Interface HTTP의 표준에 따른다면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다. Stateless REST는..

이론 정리 2022.02.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