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 표현식
- 람다 표현식이란?
- 메서드로 전달할 수 있는 익명 함수를 단순화한 것
람다 표현식은 일단 간결하게 코드를 전달하는데에 쓰인다.
-> 말하자면 사실 이전에 못하던 기능을 람다를 통해 할 수 있다기 보다는, 그냥 코드가 깔끔해지고 알아보기 쉬운 것이다.
저기 위의 설명에서 그 이유를 대충 짐작할 수 있는데
- 익명
- 이름이 따로 없다. 이름을 만들 필요가 없으니 구현이 간단해진다.
- 함수
- 메서드와 다르게 특정 클래스에 종속되지 않는다.
- 파라미터 리스트, 바디, 반환 형식, 예외 리스트는 포함된다.
- 전달
- 람다 표현식을 메서드 인수로 전달하거나 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
- 간결성
- 익명 클래스처럼 코드를 막 구현할 필요는 없다.
람다에 대해서
(Apple a1, Apple a2) -> a1.getWeight().compareTo(a2.getWeight());
여기서 화살표를 기점으로 왼쪽이 파라미터 리스트 이고, 오른쪽이 람다 바디 이다.
각각에 대해 설정하자면
- 파라미터 리스트
- 메서드 파라미터
- 즉 람다식에서 파라미터로 쓰일 애들을 저기 적어준다.
- 람다 바디
- 실제 표현식(반환값에 해당) 한다.
- 무게를 비교하는 계산식이 저기 적혀있다.
람다식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arameters) -> expression
(parameters) -> {statements;}
이렇게이다.
이걸 보고 대충 정리하자면
- {} 가 없는 경우
- 하나의 표현식이 들어가면 된다. (하나의 계산)
- 명시적, 묵시적 모두 가능하다.
- 근데 그렇다고 구문이 들어갈 수 없는것은 아닌데, Runnable처럼 결과가 없는 경우는 구문으로도 잘 동작한다.
- 사실 이거는 근데 구문이 들어갈 수 있다!! 라기 보다는 그냥 결과가 void형태라...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 {}가 있는 경우
- 구문이 들어간다.
- 하나만 들어갈필요는 없다. 많은 동작 구문을 넣어도 된다.
- 표현식을 넣어줄 때에는 그거만 띡 넣는게 아니라 명시적으로 return등의 행동을 적어야 한다.
람다의 사용법
앞에서 보았던 필터 메서드에 람다를 활용할 수 있다.
List<Apple> greenApples = filter(inventory, (Apple a) -> GREEN.equals(a.getColor()));
함수형 인터페이스
이거를 보면 대충 왜 썼는지 알것이다.
대충 설명하자면 인터페이스 내에 하나의 메서드만을 정의시키고, 그거를 내가 알아서 구현해서 쓰는 느낌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각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return형태나 parameter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지니까 상황에 맞게 갖다 쓰면 된다.
그래서 이걸 뭐 어쩌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람다를 통해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구현을 쓰면서 바로 전달해줄 수 있다!!
그니까 즉 람다 표현식 자체가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로 취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함수 디스크립터
함수 디스크립터는, 람다 표현식의 시그니처를 서술하는 메서드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Runnable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run
의 경우
인수와 반환값이 없으므로
Runnable 인터페이스는 인수와 반환값이 없는 시그니처로 생각하면 된다.
아까 위에서 중괄호가 없는 람다식에서도 Runnable처럼 결과가 없는 경우는 구문으로도 잘 동작
한다고 적어놓았을 것이다.
이게 말하자면
process(() -> System.out.println("류찬은 최고다!!"));
와 같은 형태인데, 분명 표현식이 들어가야 했는데 왠지 구문이 들어갔다.
대충 표현하자면
이런 식인데, 이거 동작시키면
잘 된다.
이는 자바에서 void 반환하는 메서드 호출에 관한 특별한 규칙을 정하고 있기 때문인데, 한 개의 void 메서드 호출은 중괄호가 필요없다.
-> 한개의 void 메서드 호출은 알아서 구문을 사용해도 되는 것.
람다 활용
자원 처리(DB의 파일 처리 등등)에서 순환 패턴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이는
- 자원을 연다.
- 처리한다.
- 자원을 닫는다.
로 실행하는데 여기서 1, 3 설정과 처리 과정은 대부분 비슷하다.
즉 2번 처리 과정을 위해 설정과 정리 과정이 이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인데, 이런 형식의 코드를 실행 어라운드 패턴 이라 한다.
이를 처리할 때에 람다를 쓰면 간단히 해결 가능하다.
함수형 인터페이스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오직 하나의 추상 메서드를 지정한다.
java에서는 Comparable, Runnable, Cllable 등의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이외의 내용들은 여기 서 확인 가능하다.
기본형 특화 함수형 인터페이스
여기서 살펴본 애들은 다들 reference(참조형) 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만약 primitive(기본형)을 사용하게 되면 자바에서 이를 박싱하여 전달하고, 또 저기서는 언박싱하여 참조형을 기본형으로 만드는 등의 리소스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기본형 특화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뭐 대충
DoublePredicate
, IntConsumer
, IntFunction
등등... 앞에 기본형 형식을 붙여주는 느낌이다.
이렇게 하면 특정 형식의 기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참고로 Function처럼 return이 존재할 때에 ToIntFunction<T>
이렇게 하면 기본형 Return도 가능하다.
형식 검사, 형식 추론, 제약
람다 표현식에는 이게 어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근데 람다를 통해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람다의 실제 형식을 파악해야 한다.
형식 검사
람다가 사용되는 컨텍스트를 이용해서 람다의 형식을 추로할 수 있다.
컨텍스트는 그 람다가 쓰이게 되는 문맥인데, 즉 람다가 할당되는 변수나 쓰이는 메서드의 파라미터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ist<Apple> heavierThan150g = filter(inventory, (Apple apple) -> apple.getWeight() > 150);
요런게 있을때 저기 뒤에 apple.getWeight() > 150
파라미터는 pedicate 형식임을 알 수 있다(boolean)
그래서 람다식은 apple을 인수로 받아 boolean을 반환하는 코드일 것이다.
같은 람다, 따른 함수형 인터페이스
같은 람다 표현식이여도 다른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Callable<Integer> c = () -> 42;
PrivilegedAction<Integer> p = () -> 42;
뒤의 람다 표현식은 같지만, 다른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이를 받고 있다.
Callable, PrivilegedAction 모두 T를 반환하는 함수를 정의하고 있어서 둘 다 맞는 표현식이다.
형식 추론
위에서 람다는 대상 형식을 통해 함수 디스크립터를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표현식을 보고 어떤 함수형 인터페이스인지 알 것이다.)
그리고 함수 디스크립터를 알기 때문에 당연히 람다의 시그니처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면 어떤 함수형 인터페이스인지 알기 떄문에 어떤 형식의 파라미터와 return이 나올지는 자연스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를 통해 따로 형식을 적지 않고도 자바가 이를 추론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Comparator<Apple> c =
(a1, a2) -> a1.getWeight().compareTo(a2.getWeight());
보면
a1.getWeight().compareTo(a2.getWeight())
는int compare(T o1, T o2);
을 기반으로int compare(Apple a1, Apple a2)
를 디스크립터로 가질 것이다.- 위에서 함수 디스크립터는 Apple 두개를 받고, int를 return한다.
- 그러면 시그니처는
(Apple a1, Apple a2) -> int
일 것이다. - 굳이 저거를 적어주지 않아도 추론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식으로 형식 추론을 통해 코드를 단순화 할 수도 있다.
지역 변수 사용
이거를 참고하면 좋은데, 간단하게 말하자면 지역 변수는 final의 값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메서드 참조
메서드 참조를 사용해서 람다처럼 전달할 수 있고, 어떨 때에는 이게 더 가독성이 좋을 수도 있다.
한번 보자
요약
말하자면 특정 메서드를 호출하는 람다
의 축약형이다.
즉 람다의 목적이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이라면, 그걸 그냥 직접 참조시키는 것이다.
Apple::getWeight
와 같은 식으로 getWeight 라는 메서드를 그냥 참조시키면 된다.
생성자 참조
ClassName::new
처럼 클래스명과 new 기워드를 이용해서 기존 생성자의 참조를 만들 수 있다.
Supplier<Apple> c1 = Apple::new;
Apple a1 = c1.get();
위의 코드는
Supplier<Apple> c1 = () -> new Apple();
Apple a1 = c1.get();
과 같다.
Functional interface Supplier의 get 메서드를 새로 생성하는 new로 선언해 둔다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생성하면서 바로 값을 설정하려 한다면(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Function<Integer, Apple> c2 = Apple::new;
Apple a2 = c2.apply(110);
이렇게 하면 된다.
이는
Function<Integer, Apple> c2 = (weight) -> new Apple(new);
Apple a2 = c2.apply(110);
이와 같다.
이런 식으로 하면 인스턴스화하지 않고도 생성자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p으로 생성자와 문자열값을 관련시킬 수 있다.
static Map<String, Function<Integer, Fruit>> map = new HashMap<>();
이런 식으로 String 형식의 Key와 Function<Integer, Fruit> 형식의 value를 갖는(즉, value로 Integer가 들어오면 Fruit 객체를 내뱉는) HashMap map을 정의하고
static {
map.put("apple", Apple::new);
map.put("orange", Orange::new);
}
값을 넣어준다.
이 때 매번 Fruit의 종류를 하나하나 만들어 줄 필요 없이 Integer를 통해 바로 new 생성자를 넣어준다.
이후
public static Fruit giveMeFruit(String fruit, Integer weight) {
return map.get(fruit.toLowerCase())
.apple(weight);
}
이렇게 giveMeFruit를 만들어주면
저 giveMeFruit를 통해 map에 해당하는 객체를 만드는 코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론 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림 소개 (0) | 2023.09.30 |
---|---|
java의 HashMap과 해시 충돌(collision) 관련 (0) | 2023.08.23 |
동적 파라미터화 (0) | 2023.07.12 |
this (0) | 2023.04.18 |
static이랑 instance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