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정리/java

java의 HashMap과 해시 충돌(collision) 관련

철매존 2023. 8. 23. 00:48
728x90

java의 HashMap과 해시 충돌(collision) 관련

이거이거를 먼저 읽고오는것도 괜찮다.

HashMap의 collision

위에 글을 읽으면 알겠지만, hashMap은 key를 해싱시켜 저장한다.
즉 어떤 key가 들어왔을 때에 이를 변환시키게 되고, 당연한 일이지만 이 때에 같은 변환값을 갖는 해시 충돌은 반드시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도입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 해결이란, 충돌을 아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줄이는 방법이다.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간단하게 말하면 겹치면 다른곳에 저장하는 것이다.
만약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주소에 값을 저장하는 식이다.

그리고 이 주소를 찾아가는 알고리즘도 여러 개가 있다.

  • 선형 탐사법 (Linear probing)
    • 말 그대로 그냥 선형으로 검색해서 빈곳에 값을 넣는 알고리즘
    • 24 -> 25 -> 26 -> 27 ... 대충 이런식으로 충돌이 발생하면 균등하게 옆으로 찾아가면서 확인하고 값을 넣는다.
    • 해시 충돌이 값 전체에 균등하게 발생하는 경우 유용하다.
    • 다만 만약 충돌난 지점을 기준으로 균등하게 찾을 때에 값들이 균일하게 있으면 성능이 확 떨어진다.
  • 제곱 탐사법 (Quadratic probing)
    • 선형 탐사법이랑 비슷한데, 이름처럼 제곱으로 빈곳을 찾아가는 알고리즘
    • 1 -> 3 -> 7 -> 15 -> 31 ... 이런 식으로 제곱으로 빈칸을 찾아간다.
    • 데이터의 밀집도가 선형 탐사법에 비해 낮아진다.(겹치면 멀리 가니까) 따라서 이 때에 충돌 발생 가능성이 적다.
    • 다만 배열의 크기가 커져서 캐시 성능이 낮아진다.
  • 이중 해싱 (Double hashing)
    • 해시 충돌이 발생하면 다시 한번 해싱을 돌린다. (기존과는 다른 해싱함수)
      • 이 때에 (처음 키, 최초해시 위치) 도 포함해서 돌린다.
        • 다시 찾아갈 때에는 최초 위치서부터 찾아가고 -> 찾았을 때에 그 key가 원하는게 맞는지 -> 아니면 다시 두번째 해싱함수를 돌려서 찾아가기 ... 이렇게 찾는것이다.
    • 이거는 충돌 가능성은 아주 낮다.
    • 근데 문제는 성능이 무지개같다.
      • 해싱함수를 또 돌려야함 -> 연산이 많음
      • 대체 어디에 저장될지 알수없고 array의 크기가 엄청 커질수 있다.

분리 연결법(separate chaining)

이거는 간단히 말해서 해시 슬롯에 여러 값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슬롯에는 linkedList나 tree를 사용한다. -> java에서는 둘 다 사용)

말하자면 해시 충돌이 일어나면 따로 다른곳에 보관하는게 아니라 둘다 연결해서 쫘르륵 넣는것이다.
장점은 충돌이 일어났을 때에 굳이 index를 바꾸지 않아도 되고 데이터를 걍 넣으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같은곳에 여러 값이 들어가면(충돌이 많이 발생해서 슬롯이 커지는 경우)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간략 정리

  • 개방 주소법
    • 해시 발생시 다른곳에 보내는 방법
    • 선형 탐사법 : 하나씩 다음으로 빈공간 찾아가기
    • 제곱 탐사법 : 제곱으로 다음 빈공간 찾아가기
    • 이중 해싱 : 다른 해싱 한번더 돌리기
  • 분리 연결법
    • 해시 발생시 그냥 linkedList나 tree에 추가하기

java에서의 Hash collision 해결법

기본적으로 분리 연결법을 사용한다.

위에서 java는 기본적으로 분리 연결법을 사용하고, linkedListtree를 모두 사용한다 했었다.

이거이거에서 조회 성능을 한번 확인해 보면 데이터가 적을 때에는 linkedList의 성능이 더 좋지만, 데이터가 많아지면 Tree의 성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java에서는 데이터가 적을 때에는 linkedList, 데이터가 많을 때에는 tree를 사용하고 있다.

이전 글처럼 한번 hashmap의 put부터 살펴보자

image

/**
 * Implements Map.put and related methods.
 *
 * @param hash hash for key
 * @param key the key
 * @param value the value to put
 * @param onlyIfAbsent if true, don't change existing value
 * @param evict if false, the table is in creation mode.
 * @return previous value, or null if none
 */
final V putVal(int hash, K key, V value, boolean onlyIfAbsent,
               boolean evict) {
    Node<K,V>[] tab; Node<K,V> p; int n, i;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n = (tab = resize()).length;
    if ((p = tab[i = (n - 1) & hash]) == null)
        tab[i] = newNode(hash, key, value, null);
    else {
        Node<K,V> e; K k;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else if (p instanceof TreeNode)
            e = ((TreeNode<K,V>)p).putTreeVal(this, tab, hash, key, value);
        else {
            for (int binCount = 0; ; ++binCount) {
                if ((e = p.next) == null) {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if (binCount >= TREEIFY_THRESHOLD - 1) // -1 for 1st
                        treeifyBin(tab, hash);
                    break;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break;
                p = e;
            }
        }
        if (e != null) { // existing mapping for key
            V oldValue = e.value;
            if (!onlyIfAbsent || oldValue == null)
                e.value = value;
            afterNodeAccess(e);
            return oldValue;
        }
    }
    ++modCount;
    if (++size > threshold)
        resize();
    afterNodeInsertion(evict);
    return null;
}

이게 data를 put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해싱 충돌을 처리하는 부분을 한번 빼서 보면

            Node<K,V> e; K k;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else if (p instanceof TreeNode)
                e = ((TreeNode<K,V>)p).putTreeVal(this, tab, hash, key, value);
            else {
                for (int binCount = 0; ; ++binCount) {
                    if ((e = p.next) == null) {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if (binCount >= TREEIFY_THRESHOLD - 1) // -1 for 1st
                            treeifyBin(tab, hash);
                        break;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break;
                    p = e;
                }
            }
            if (e != null) { // existing mapping for key
                V oldValue = e.value;
                if (!onlyIfAbsent || oldValue == null)
                    e.value = value;
                afterNodeAccess(e);
                return oldValue;
            }

이거다
이게 위에서 설명하는 것인데, 일단 저거 코드는 else 부분이고, 위에서 p가 null인 경우가 아니었으니까 -> 해시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알고리즘이 이거다.

  • 처음 If에서는 p랑 hash된 친구를 비교해서 같은 키인지 확인해 본다(즉 충돌이 아니라 원래 원하던 값인지 판단한다.)
    • 같은 키라면 그냥 그걸 쓰면 된다.
  • 다음 else if에서는 이 p가 TreeNode인지 확인한다.
    • 트리노드라면 그 트리노드의 putTreeVal이라는 함수를 호출시켜서 트리에 노드를 추가시킨다.
    • 참고로 이 putTreeVal의 경우는 putVal의 Tree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 그리고 이거 방식이 레드블랙트리라고 한다.
  • 마지막 else에서는 이거 linkedList일 것이다.
    • 노드에서 for문으로 같은 키인지 확인하기 위해 끝까지 확인한다.
      • 여기서 찾은 경우에는 break되고 해당 값을 갱신하게 될 것이다.
    • 그리고 여기서 TREEIFY_THRESHOLD-1 보다 현재값이 큰 경우는 얘를 트리구조로 변경한다
      • 굳이 -1를 해주는 이유는 최초 노드가 추가될 때에 이미 1개의 노드가 존재하여 이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 그게 저 주석 의미기도 함ㅇㅇ
  • 근데 원하는 값이 아니라면, 이거는 새로 추가하는 값일 것이다.
    • 이 때에는 linkedList에 값을 추가해주면 된다.

대충 이런 흐름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근데 이제... 그래서 저거 linkedList랑 treeNode 둘을 어떻게 구분하고 바꾸는데??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image

요거 내용을 한번 보면

  • TREEIFY_THRESHOLD
    • 리스트 대신 트리를 사용하기 위한 버킷 개수 임계치
  • UNTREEIFY_THRESHOLD
    • 분할된 버킷을 트리구조에서 untreeifying 하는 데에 필요한 임계치

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니까 8이 넘으면 트리가 되고, 6까지는 linkedList라는 것이다.

근데 7은 어디갔냐? 할 수 있는데, 후술하겠다.

        ++modCount;
        if (++size > threshold)
            resize();
        afterNodeInsertion(evict);
        return null;

putVal 맨 밑의 이거를 보면 눈치를 챘겠지만, 이게 size가 커지면서 발생하는 일 같을 것이다(위에서 값이 변경되면 break가 없었거든.. 그래서 ++size해서 가는거지)
그러면 저 resize() 함수의 동작을 살펴봐야한다.

    final Node<K,V>[] resize() {
        Node<K,V>[] oldTab = table;
        int oldCap = (oldTab == null) ? 0 : oldTab.length;
        int oldThr = threshold;
        int newCap, newThr = 0;
        if (oldCap > 0) {
            if (oldCap >= MAXIMUM_CAPACITY) {
                threshold = Integer.MAX_VALUE;
                return oldTab;
            }
            else if ((newCap = oldCap << 1) < MAXIMUM_CAPACITY &&
                     oldCap >= DEFAULT_INITIAL_CAPACITY)
                newThr = oldThr << 1; // double threshold
        }
        else if (oldThr > 0) // initial capacity was placed in threshold
            newCap = oldThr;
        else {               // zero initial threshold signifies using defaults
            newCap = DEFAULT_INITIAL_CAPACITY;
            newThr = (int)(DEFAULT_LOAD_FACTOR * DEFAULT_INITIAL_CAPACITY);
        }
        if (newThr == 0) {
            float ft = (float)newCap * loadFactor;
            newThr = (newCap < MAXIMUM_CAPACITY && ft < (float)MAXIMUM_CAPACITY ?
                      (int)ft : Integer.MAX_VALUE);
        }
        threshold = newThr;
        @SuppressWarnings({"rawtypes","unchecked"})
        Node<K,V>[] newTab = (Node<K,V>[])new Node[newCap];
        table = newTab;
        if (oldTab != null) {
            for (int j = 0; j < oldCap; ++j) {
                Node<K,V> e;
                if ((e = oldTab[j]) != null) {
                    oldTab[j] = null;
                    if (e.next == null)
                        newTab[e.hash & (newCap - 1)] = e;
                    else if (e instanceof TreeNode)
                        ((TreeNode<K,V>)e).split(this, newTab, j, oldCap);
                    else { // preserve order
                        Node<K,V> loHead = null, loTail = null;
                        Node<K,V> hiHead = null, hiTail = null;
                        Node<K,V> next;
                        do {
                            next = e.next;
                            if ((e.hash & oldCap) == 0) {
                                if (loTail == null)
                                    loHead = e;
                                else
                                    loTail.next = e;
                                loTail = e;
                            }
                            else {
                                if (hiTail == null)
                                    hiHead = e;
                                else
                                    hiTail.next = e;
                                hiTail = e;
                            }
                        } while ((e = next) != null);
                        if (loTail != null) {
                            loTail.next = null;
                            newTab[j] = loHead;
                        }
                        if (hiTail != null) {
                            hiTail.next = null;
                            newTab[j + oldCap] = hiHead;
                        }
                    }
                }
            }
        }
        return newTab;
    }

이게 resize 함수의 내부 구현이다.

여기서 나머지는 뭐 비었는지를 확인하고, 노드를 추가하거나 하는 부분이다.
다만 여기서

else if (e instanceof TreeNode)
    ((TreeNode<K,V>)e).split(this, newTab, j, oldCap);

해당 코드가 트리일 때에 나누는 부분이다.
이제 split()을 찾아가보면

        final void split(HashMap<K,V> map, Node<K,V>[] tab, int index, int bit) {
            TreeNode<K,V> b = this;
            // Relink into lo and hi lists, preserving order
            TreeNode<K,V> loHead = null, loTail = null;
            TreeNode<K,V> hiHead = null, hiTail = null;
            int lc = 0, hc = 0;
            for (TreeNode<K,V> e = b, next; e != null; e = next) {
                next = (TreeNode<K,V>)e.next;
                e.next = null;
                if ((e.hash & bit) == 0) {
                    if ((e.prev = loTail) == null)
                        loHead = e;
                    else
                        loTail.next = e;
                    loTail = e;
                    ++lc;
                }
                else {
                    if ((e.prev = hiTail) == null)
                        hiHead = e;
                    else
                        hiTail.next = e;
                    hiTail = e;
                    ++hc;
                }
            }

            if (loHead != null) {
                if (lc <= UNTREEIFY_THRESHOLD)
                    tab[index] = loHead.untreeify(map);
                else {
                    tab[index] = loHead;
                    if (hiHead != null) // (else is already treeified)
                        loHead.treeify(tab);
                }
            }
            if (hiHead != null) {
                if (hc <= UNTREEIFY_THRESHOLD)
                    tab[index + bit] = hiHead.untreeify(map);
                else {
                    tab[index + bit] = hiHead;
                    if (loHead != null)
                        hiHead.treeify(tab);
                }
            }
        }

요렇게 나온다.
이거는 보면

  • UNTREEIFY_THRESHOLD보다 lc(노드의 개수)가 작거나 같으면 untreeify한다.
  • 그렇지 않으면 treeify한다.

로 된다.
그러니까 즉 지금 hashmap의 내용이 이 숫자보다 크냐 작냐에 따라 트리로 갈지 아닐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저 resize() 함수는 처음에도 한번 호출되는데, 그래서 그 때에 바로 linkedList 형태로 만들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자 근데 아까 putVal 부분에서 linkedList를 Tree로 만들 때에 TREEIFY_THRESHOLD 에 도달할 때에 tree로 바꿨을 것이다. -> -1이 있어서 7로 보일 수 있지만(내가 그랬음) 그거는 그냥 처음 노드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즉 8에 도달했을 때 바뀌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UNTREEIFY_THRESHOLD보다 크거나 같은 때에 linkedList로 바꾸고 있다.

그러니까

  1. 처음에 linkedList -> tree 일 때에는 8일때 변경
  2. 그 다음부터는 그냥 tree이다가 6이 될 때에 tree -> linkedList로 변경
  3. 7일때는 현상 유지

이다.
보면 알겠지만 저거 둘이 서로 바꾸는 로직이 또 귀찮다.
그래서 java에서는 뭐 7의 경우는 딱히 둘이 성능차이도 없고, 계속
6,7,6,7,6,7,6,7
7,8,7,8,7,8,7,8
뭐 이런식으로 바뀔 때에 구조를 바꾸는거를 방지하기 위해서 저런 식으로 하나의 버퍼를 두고 해준 것이다.

정리

  • java는 해시 충돌 때에 분리 연결법을 사용함
  • 데이터가 적을 때에는 linkedList로 보관
  • 데이터가 많을 때에는 tree로 보관
  • 저 데이터의 많고 적고 기준은 6, 8로 중간에 7은 그냥 현상유지

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게 이전에 공부할 때에는 그냥 충돌 있으면 이거 함수가 동작을 하는구만, 그리고 그게 처리를 해줘서 보관이 가능하는군 했었는데 좋은 기회가 있어서 살펴보게 되었다. 쏘 그레잇

'이론 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림 활용법  (1) 2023.11.04
스트림 소개  (0) 2023.09.30
람다 표현식  (0) 2023.08.05
동적 파라미터화  (0) 2023.07.12
this  (0)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