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5

Springboot3.0에서 [Spring]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해결하기!!

Springboot3.0에서 [Spring]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해결하기!! Springboot3.0이 나왔다!! 근데 이거를 깃에서 클론받아서 쓰려하면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요런 에러가 나면서 안될때가 있다. 이게 안되는 이유는 아마 JDK버전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왜냐면 Spring Boot 3.0 이상 버전에서는 JDK17이상만 지원하기 때문! 그니까 당신의 컴터는 다른 JDK인데 필요한게 JDK17이상이기 때문 해결법 IntelliJ의 preference에 들어가서 cmd + , Build, Ex..

spring boot의 self invocation, 이유와 해결법

spring boot의 self invocation, 이유와 해결법 회사에서 개발하는데 캐싱과 관련하여 self invocation 관련해서 이슈를 들었다. 그래서 한번 찾아보게 되었다. invocation 이거는 메서드 호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elf-Injection?? 일단 문제상황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한다. (그리고 캐시 설정은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Ryoochan.java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ionType; import jakarta.persistence.Id; @Entity public cl..

MySql 인덱스 - 기본 개념

MySQL 인덱스 실무에서 엄청나게 중요한녀석임... 이를 사용해서 select를 할 때에 데이터를 빠르게 응답하도록 할 수 있음! 사실 인덱스를 한다고 뭐 쿼리가 바뀌는건 아니다. 그냥 이걸 통해 속도를 빠르게 하는거임. 데이터베이스를 빠르게 하도록 하는 "튜닝" 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이 인덱스이다. 물론 막 쓰면 오히려 성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그래서 일단 인덱스의 개념이랑 활용 등을 찾아보도록 한다. 인덱스 개념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사람 이름 키 몸무게 을 갖는 테이블이 있을 때 1 류찬 178 70 2 김찬 189 99 3 박찬 140 39 4 이찬 180 34 5 반찬 200 50 6 징기스찬 160 50 7 가슴이벅찬 390 34 요런 식으로 있다고 하자. (일단 동명이인은 없다고 가..

Mysql 엔진 Lock

MySql 엔진 lock Mysql 엔진 레벨의 잠금은 모든 스토리지 엔진에 영향을 미친다. 글로벌 락(Global lock) FLUSH TABLES WITH READ LOCK 위의 명령을 통해 획들 가능한 잠금이다. 글로벌 락의 특징 MySql에서 제공하는 잠금 중 가장 범위가 큰 잠금이다. 해당 락이 활성화되면 전체 테이블/DB가 영향을 받는다. select를 제외한 DDL, DML문장은 글로벌 락이 해제되기 전까지 대기하게 된다. 해당 락은 MySql의 모든 테이블에 잠금을 걸게 된다. 추가적으로, 모든 테이블/DB에 대해 잠금을 걸기 때문에 해당 락 명령 실행 이전에 수행되던 트랜잭션/SQL이 끝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참고로 모든 SQL에 대해서이기 때문에 락 대상이 아닌 select 명령도 ..

this

this 생성자 this() 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할 때 사용 다른 생성자 호출시 첫 줄에서만 사용가능 예시 class Car2 { String color; String gearType; int door; Car2() { this("white", "auto", 4); } Car2(String color) { this("color", "auto", 4); } Car2(String color, String gearType, int door) { this.color = color; this.gearType = gearType; this.door = door; } }요런 식으로 생성자에서 같은 클래스 안의 생성자를 호출할 때 사용한다. -> 사실 이거는 걍 Car2("color", "auto, 4"); ..

이론 정리/java 2023.04.18

static이랑 instance

static과 인스턴스 메서드 일단 얘들이 뭐냐면 class MyMath { long a, b; long add() { // 인스턴스 메서드 return a + b; } static long add(long a, long b) { // 클래스 메서드(static) return a + b; } }이렇게 되어있다. 그래서 이게 뭐가 다른걸까? 인스턴스 메서드 인스턴스 생성 후, '참조변수.메서드이름()'으로 호출 인스턴스 멤버(iv, im)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메서드 iv : instance variable im : instance method 메서드 내에서 인스턴스 변수(iv) 사용가능 static 메서드(클래스메서드) 객체생성 없이 '클래스이름.메서드이름()'으로 호출 객체..

이론 정리/java 2023.04.18

Default, Static method in java(feat. JDK8, 그 이후)

Default, Static method in java(feat. JDK8, 그 이후) 인터페이스를 공부하다 보면 자주 나오는 메서드들이다. 어떤 것인지, 어떻게 쓰이는지 차이를 알아보자. java interface 먼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본적인 설명은 얘랑 얘를 보면 대충 감이 잡힐 것이라 생각한다. 기존에는 interface를 만들고, 이를 구현하는 부분을 따로 implements하여 작성해 주어야 했다. JDK 8에서의 변화 JDK8부터 interface에서 default, static 메서드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default method Default가 뭔데? 싶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름 그대로 기본적으로 기능을 갖고 있는 메서드를 뜻한다. 예를 들어, 류찬의 외모 설명 이라는 메서드를 ..

이론 정리/java 2023.04.04

2022 카카오 post Server 최종 합격 후기

2022 카카오 post Server 최종 합격 후기 지원 동기 먼저 나는 현재 현대자동차의 IT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너무 좋은 회사라고 생각하지만, 내가 원했던 직무에 배치받지 못하고 새로운 것을 하느라 많은 고민을 했다. 그러던 중 카카오에서 백엔드 개발자를 뽑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하게 되었다. 서류 경쟁률은 솔직히 잘 모르겠기는 한데, 생각보다 오랜 기간동안 서류 검토가 진행된 것을 봐서는 상세하게 읽어보았던 것 같다. 카카오는 기본적으로 자기소개를 자유양식으로 주기 때문에 작성이 편했다. 나같은 경우는 notion에 적은 자기소개를 제출하였다. 코딩 테스트 코딩 테스트는 프로그래머스 플랫폼을 사용했고, 알고리즘 3문제가 출제되었다. 문제는 카카오 신입사원 문제에 비해서는 쉬었는데 새로운 방식..

기타/일상 2023.03.11

어댑터 패턴

어댑터 패턴 기존 코드를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바꿔주는 패턴 이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따르지 않는 기존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간단히 말하자면 나라마다 110v, 220v 등등 규격이 다른 것처럼 코드도 클라이언트 규격이 다를 수 있는데, 어댑터를 사용해서 이를 알맞게 변환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내가 만들어 낸 코드와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코드 간의 차이가 존재할 때에, 이를 맞추어 주기 위해 interface의 구현체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코드로 확인 이런 식으로, security package에 3개의 java파일이 있다. LoginHandler public class LoginHandler { UserDetailsService use..

이론 정리 2023.02.26

querydsl에서 다대다 구현하기. 일대다-다대일(feat. Result Aggregation)

querydsl에서 다대다 구현하기. 일대다-다대일(feat. Result Aggregation) 보통 다대다 매핑을 할 때에는 일대다 - 다대일로 매핑하도록 시킨다. 이 이유는 어차피 JPA에서 만든 후에 이를 처리해주기 위한 중간 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 근데 이 테이블을 사용하는 동안 정체모를 쿼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중간 테이블에도 메타 데이터 등의 추가 쿼리가 필요할 수 있는데, 이를 다대다에서는 개발자가 넣어줄 수 없다. 암튼 그래서... 일대다 다대일로 하는데, 여기서 하나의 파트에서 반대 파트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황 먼저 프로젝트 밈위키 에서는 대충 뭐 이런 느낌으로 "밈 - 태그" 를 갖고 있다. 이는 생각해보면 이렇게 밈과 태그가 다대다로 묶여 있어서 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