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16

[leetcode - 6. Zigzag Conversion] java

문제 설명1. 문자열이 주어진다.2. 지그재그 이동할 숫자가 주어진다.3. 지그재그 하고 문자열 변경하면 된다.풀이 과정 - 지그재그보다는 위아래? 라고 생각하면 쉽다.P A H NA P L S I I GY I R1. 보면 만들어지는 순서가 1 2 3 2 1 2 3 2 1 2 3 ... 이렇게 된다.2. 그러면 Queue 배열을 만들어서 q1(PAHN) q2(APLSIIG) q3(YIR) 이렇게 두고 합쳐주면 바로 풀린다.3. 위아래 슉 슈슉 슉코드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convert(String s, int numRows) { // 위의 경우에는 지그재그가 애초에 안나온다. if(numRows == 1 || numRows..

알고리즘 공부 2025.01.31

[백준 22866번] 탑 보기 - java

문제 설명1. 건물의 개수 N이 주어진다.2. 건물의 높이가 N개 주어진다.3. 각 건물은 자신의 높이보다 높은 건물들을 볼 수 있다.4. 보고있는 방향으로는 앞에 있는 건물보다 높은 건물을만 볼 수 있다.5. 오른쪽, 왼쪽 기준 볼 수 있는 모든 건물의 숫자랑 가장 가까운 건물 위치를 한줄씩 출력하면 된다.풀이 과정1. 구현2. Stack을 사용해 주면 된다. 투포인터 비슷한가 싶었는데 전혀 아니었다.3. 왼->오, 오->왼 하면서 Stack에 점점 높이가 낮아지면서 건물들을 저장한다.4. 그러면서 현재 건물보다 높은것들만 있으면 그게 size, 그 중 가장 가까운 위치를 확인해주면 된다.5. 모노토닉 스택에 대해서 알고 있으면 쉬울 수 있지만.. 나는 알고 있는데도 떠올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5.01.31

[leetcode - 68. Text Justification] java

문제 설명1. 단어들의 배열이랑, 최대 너비 maxWidth가 주어진다.2. maxWidth만큼 단어들을 배치하고 각 단어 사이에는 space가 최소 하나는 있어야 한다.3. 마지막 문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장들은 space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문장을 완성해야 하고 그게 안되면 왼쪽의 space가 더 많으면 된다.4. 마지막 문장은 단어 사이에 space는 하나만 있고 마지막 단어로부터 끝까지 싹다 space로 채운다.풀이 과정 - 솔직히 얘는 왜 하드인지 잘 모르겠다. 약간 모르면 맞아야하는 문제는 아닌 것 같고 좀 귀찮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되는 느낌. 다만 한번 꼬이면 답 없을 것 같기는 하다.1. 빡구현 + 약간의 그리디?2. 결국 지금까지의 단어를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파악하면 되는..

알고리즘 공부 2025.01.31

[leetcode - 42. Trapping Rain Water] java

문제 설명1. 블록이랑 높이가 주어진다.2. 블록 사이에 물이 쌓인다.3. 물의 총합을 구하면 된다.풀이 과정 - 처음에는 백준에 있던 비슷한 문제를 풀었던 경험이 있었어서 그대로 해야지 싶었다.https://www.acmicpc.net/problem/14719- 근데 그대로 풀었더니 시간초과가 났다. 그래서 한참 헤맸는데... 투 포인터로 풀면 간단?히?(이미 1시간 넘게 씀) 풀리는 문제였다...- 뭔가 나는 문제를 보자마자 풀이를 시작하는 버릇을 고쳐야 할 것 같다. 정확히 풀이를 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어야 할듯1. 투 포인터 + 구현2. 왼쪽과 오른쪽 끝에서부터 확인해가면서3. 오른쪽이 더 클 때, 왼쪽의 최대 높이보다 현 왼쪽이 더 큰 경우 최대높이를 갱신해주고, 그렇지 않다면 여기는 물이 쌓..

알고리즘 공부 2025.01.30

[leetcode - 238. Product of Array Except Self] java

문제 설명1. 배열이 주어진다.2. 지금 위치 빼고 나머지의 곱셈을 구하면 된다.3. Int 크기 내에서 정답이 나온다.풀이 과정 1. 깡구현2. 전체 곱을 구해두고 거기서 지금 값을 나누면 될거라 생각했다(근데 전체 곱은 int 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므로 long)3. 0이 2개 이상인 경우 모든 경우 다 0이다.4. 0이 1개인 경우 그 0이 있는 위치는 나머지 전체 곱이고, 나머지 모든 곳에서는 0이 나온다.코드class Solution { public int[] productExceptSelf(int[] nums) { int[] answer = new int[nums.length]; long allMul = 1; // 전체를 곱할 때 사용하는 allMul ..

알고리즘 공부 2025.01.29

[leetcode - 380. Insert Delete GetRandom O(1)] java

문제 설명1. 랜덤셋? 을 만들어라2. insert -> 값이 있으면 false, 없으면 값을 저장하고 true3. remove -> 값이 없으면 false, 있으면 값을 제거하고 true4. getRandom -> 지금까지 저장된 값들 중 랜덤으로 하나 가져와서 보여줌풀이 과정 1. 알고..리즘? 맞나 이거?2. 그냥 위의 내용을 구현하면 되는데, O(1) 을 위해서는 아무래도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할 것 같다.3. 사실 나는 그냥 간단하게 했는데 더 성능에 좋은 방법이 있을 듯 싶다.4. ArrayList     - getRandom을 위해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 contains의 경우 O(n) 이라서 사용하지 않음    - remove는 어쩔 수 없이 사용했다. 다른 방식을 쓰려고..

알고리즘 공부 2025.01.29

[leetcode - 274. H-Index] java

문제 설명1. 배열이 주어진다.2. H-Index 란 내 논문의 인용수에서 n번 이상 된 것의 갯수가 n개 이상이 되는 최대의 n이다.3. H-Index 를 구하면 된다.풀이 과정 1. 그리?디? 솔직히 걍 구현같다.2. 최대 인용수를 구해서 거기서부터 확인해 본다.3. 지금 논문의 인용수 n 이상의 논문 갯수를 보고, 이게 n보다 크거나 같으면 정답이 된다. (내림차순이므로 최대 보장)4. pq 에 논문을 reverseOrder 로 저장하고 size를 확인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코드class Solution { public int hIndex(int[] citations) { // 인용이 많이 된 것부터 저장한다. PriorityQueue pq = new Priority..

알고리즘 공부 2025.01.29

[leetcode - 45. Jump Game II] java

문제 설명1. 배열이 주어진다.2. 최대 거기 적힌 숫자만큼 점프할 수 있다.3.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점프 갯수를 구하면 된다.풀이 과정 - DP 문제인데, 그냥 이중 for문으로 푸니까 쉬웠는데 문제에서 원했던 것은 하나의 for문으로 푸는 것 같았다.- 그래서 문제를 살펴보니(DP라는건 최소를 구하는 배열이니 미리 알고있었어서 이를 통해서 구하는걸로 마음먹음) 한번에 갈 수 있는 위치 중 가장 먼 위치가 목적지가 된다면, 그게 정답이라는 것이었다.풀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1. 먼저 현재 위치에서 점프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구한다.2. 그리고 과거에 점프해서 도달했던 최대 거리가 지금 위치라면3. (1)에서 구한 최대 거리가 다음번의 최대 거리가 될 것이고4.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점..

알고리즘 공부 2025.01.28

[leetcode - 55. Jump Game] java

문제 설명1. 배열이 주어진다.2. 최대 거기 적힌 숫자만큼 점프할 수 있다.3.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목적지에 정확히 가거나 그 이상)지 확인하면 된다.풀이 과정 1. 간단한 DFS 문제이다.2. 지금 위치에서 갈 수 있는 모든 곳을 가면서 체크해준다.3. 그리고 거기서 또 다음 위치로 가서4. 도달한 곳이 목적지 혹은 그보다 더 갔으면 true이다.5. (2) 과정에서 이전 경우에 이미 도달했을 수도 있다. 그러면 애는 더이상 체크할 필요가 없다.코드class Solution { private static boolean check[]; private static boolean ans; public boolean canJump(int[] nums) { check = ne..

알고리즘 공부 2025.01.28

[leetcode - 135. Candy] java

문제 설명1. 배열이 주어진다.2. 모든 학생은 사탕을 최소 1개 이상을 가진다.3. 양 옆 학생 중 나보다 점수가 낮은 녀석들 보다는 사탕을 많이 가져야 한다.3-1. 참고로 나랑 점수가 같으면 어떨지는 상관이 없다.풀이 과정 1. 무조건 사탕을 1개만 받는 사람들을 큐에 넣는다. (양옆이 모두 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2. 그 사람들부터 시작해서 오른쪽 왼쪽 모두 찾는다.3. 다음에 찾은 친구의 점수가 이전 친구보다 높다면, 사탕을 그보다 1개 이상 더 가지고 있어야 한다.4. 그런데, 그 높은 친구의 반대쪽에도 더 점수가 낮은 학생이 있을 수 있다.5. 우리는 이미 모든 위치에서 찾기로 했다. 결국 최종적으로 어떤 학생은 양옆보다 큰 숫자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6. 이렇게 해서 구한 모든 사탕을 더..

알고리즘 공부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