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0

패캠 - java/spring 웹 개발 강의 수업 정리(2)

객체지향의 4대 특징 1. 캡슐화 객체의 속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 ex) 컴퓨터 본체 안에 부품이 많이 있는데, 실제로 해당 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필요 없이 컴퓨터 전원을 누르면 켜짐. method설계 - 속성이 선언되었으나, 이의 상태를 변경하는 method가 없다면 잘못 선언된 속성이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속성에 대해서는 해당 상태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실물 객체가 가진 기능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 각각의 Method는 서로 관련이 있어야 한다. - 객체 안의 Method는 객체 안의 속성을 처리해야 하며, 다른 객체를 전달받아 해당 다른 객체에 정의된 속성을 직접 처리하면 안된다. 즉 자신의 속성만을 처리해야 한다. (혹시 외부에서 가져온다면 객체의 형태가 아니라 매개변수..

이론 정리/java 2021.06.28

패캠 - java/spring 웹 개발 강의 수업 정리(1)

객체 지향 예전에는 C언어와 같은 절차 지향 언어가 주를 이루었다. '절차 지향'이란, 실행하고자 하는 순서대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하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프로그램의 단위가 크지 않았고, 간단한 logic을 순차적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절차지향을 사용했는데, 이후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프로그램이 복잡해져 유지보수, 개발기간 등 부분에서 비효율이 발생하였다.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객체지향이 도입되었다. '객체지향'이란,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모델링하여, 이들의 행위와 속성을 정의하고 절차적이 아닌 객체가 중심이 되어 실제 사물이 동작하는 방식으로 설계한 것이다. 사물(객체), 행위(Method), 사물의 속성(변수-variable)을 사용하였다. 자바와 C++의 차이 java는 시스템 ..

이론 정리/java 2021.06.28

[프로그래머스] 짝지어 제거하기 - java

문제 설명 1. 문자열이 주어진다. 2. 문자열은 두개가 같으면 서로 사라지고, 그 앞뒤의 문자가 다시 붙는다. 3. 이게 끝까지 진행되어 모든 문자열이 사라지면 1, 남은 문자가 있으면 0을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선입 후출법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2. -> 가장 최근에 넣은 값 - 다음 값이 같은 경우 : 가장 최근에 넣은 값 삭제 -> 가장 최근에 넣은 값 - 다음 값이 다른 경우 : 다음 값을 넣기 3. 위의 process를 전체 문자열의 길이만큼 진행하면 구할 수 있다. 근데 솔직히 이게 왜 level2인지는 모르겠다... level1중에 이것보다 어려운 문제가 있던 것 같은데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1.06.25

[프로그래머스] 소수 만들기 - java

문제 설명 1. 배열이 주어진다. 2. 배열의 숫자들은 1000이하의 서로 다른 숫자이다. 3. 배열의 숫자들 중 3개를 더해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아리스토텔레스의 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위치가 맞는지 구하면 된다. 2. 1000이하의 서로 다른 수이기 때문에 최대 숫자를 1000+999+998이다. 체의 크기를 그걸 기준으로 정하면 된다. 3. 숫자는 1부터 세고, 나는 보기 좋게 3000을 기준으로 잡았다.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1.06.22

[프로그래머스] 키패드 누르기 - java

문제 설명 1. 왼손은 *, 오른손은 #에 위치한다. 2. 1 4 7은 왼손, 3 6 9는 오른손으로 누른다. 3. 2 5 8 0은 둘 중 가까운 손으로 누른다. 거리가 같은 경우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누른다. 4. 누르는 순서를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좌표를 통해 간단히 구현 가능하다. 2. 그런데 이중배열을 사용하지 않아도, 가로 거리와 세로 거리를 더해주면 된다. 3. 따로 구하는 이유는 세로 거리의 경우 어차피 0, 1의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이다. 4. 몇 가지 반례에 맞추어 조금만 추가하면 된다. 5. 구현하기는 쉽지만 생각해내지 못하는 경우 코드를 보고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해서 최대한 설명을 자세히 적었고, 풀이를 쪼개서 진행하였다.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1.06.20

[백준 15486번] 퇴사2- java

문제 설명 1. 전체 기간, (한 상담당 필요시간, 받는 돈)이 주어진다. 2. 모든 상담을 합쳐도 전체 기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3. 상담을 통해 벌 수 있는 최대 금액을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DP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2. 전체 기간에 대해 날짜별로 구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을 모두 구한다. 3. 예를들어 1일째에는 10원, 2일째에는 25월, 3일째에는 40원....이런 식으로 구해서 날짜별로 구해, 최대 금액이 ans이 될 것이다. 4. 최대 기간을 넘지 않는 선에서 과거 시간 + 해당 상담으로 벌 돈을 구하면 값이 나올 것이다. ex ) 10일 - (3, 10) (5, 20) (1, 10) (1, 20) (2, 15) (4, 40) (2 200)인 경우 1일 (3, 10) ->..

알고리즘 공부 2021.06.07

[백준 10775번] 공항 - java

문제 설명 1. 공항 자리와 비행기 수가 주어진다. 2. 각각 비행기가 도킹 가능한 자리의 개수가 주어진다. 1이면 1번, 2면 1,2번, 3이면 1,2,3번....이렇게 도킹 가능하다. 3. 비행기는 순서대로 들어오고 더이상 도킹이 불가능하면 공항이 폐쇄되어 process가 종료된다. 풀이 과정 1. 생각보다 간단히 구현 가능하다. 2. 비행기가 들어오게 되면 해당 비행기는 입력된 숫자 안의 모든 장소에 도킹 가능하다. 3. 그런데 앞이나 뒤에 비행기가 어떻게 들어올지 모르기 때문에, 도킹 가능한 최대 숫자에 도킹을 하면 될 것이다. 4. 즉, 입력된 숫자로부터 가장 아래까지 판단하여 자리가 있으면 그곳에 도킹하면 된다. 자리가 없으면 종료한다.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1.05.28

[백준 16953번] A -> B - java

문제 설명 1. A, B가 주어진다. 2. A의 숫자의 앞에 1을 더하거나, 2를 곱한다. 3. 이 계산을 반복하여 B를 만드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간단한 DFS문제이다. 2. 계속 두 가지 연산을 진행하며 level을 하나씩 올려준다. 3. 원하는 숫자를 만들어내면 가장 작은 숫자를 return하고, 더 커지면 나가면 된다. 4. 모든 경우를 진행해도 숫자를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를 boolean을 사용하여 구하면 된다.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1.05.20

[백준 2608번] 로마 숫자 - java

문제 설명 1. 로마 숫자 2개가 주어진다. 2. 각 숫자들은 해당 방식으로 주어진다. 3. 작은 숫자가 큰 수 전에 오는 경우는 한 경우밖에 없으며, 해당 경우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빼 준다. ex ) IV -> 4, XC -> 9, CM -> 900 4. III의 경우 3이 되며, 같은 알파뱃은 3번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5. V, L, D는 한 번 밖에 사용할 수 있다. 풀이 과정 1. [1, 2, 3, 4, 5] 다섯 가지를 구하는 모든 방법이 존재한다. 2. java에서 문자열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IV, XC처럼 특수한 경우를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이다. 3. 예를 들어 IV -> A, XC -> B로 하면 [A=4] [B=9] 이렇게 바로바로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4. 이런 ..

알고리즘 공부 2021.05.16

[백준 1806번] 부분합 - java

문제 설명 1. 전체 숫자 N, 만들어야 하는 숫자 S가 주어진다. 2. N개의 숫자가 주어지고 숫자는 순서대로 더할 수 밖에 없다 3. S를 만들 수 있는 최소한의 숫자 개수를 return한다. 만약 만들지 못하면 0을 return한다. 풀이 과정 1. 연속된 순서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0번 인덱스부터 수를 더해 합이 S가 될 때까지 진행한다. - 숫자의 합이 S가 되면 지금까지 더한 숫자의 맨 앞 인덱스를 지우고 다시 판단한다. - 숫자를 뺀 뒤에도 S보다 숫자의 합이 더 크면 이전 단계를 다시 진행한다. - S보다 작아진 경우, 다음 인덱스를 더해 준다. 2. 이 방식을 통해 구할 수 있을 것이다. 3. 예를 들어 10 글자로 15를 만들려 한다면 ex ) - N = 10, S = 15..

알고리즘 공부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