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2

배민 Kafka를 활용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구축 보고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DY3sUeGu74M 이거 보고 정리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왜 구축했냐?배달 + 알림, 통계 등등...근데 알림이나 통계는 배달이랑 강한 일관성을 가지지는 않는다.둘을 같이 동시에 만족할 필요는 없음. (준 실시간성으로도 ㄱㅊ)즉 이는 결과적 일관성으로 만족할 수 있다. (이벤트를 통해 변경사항을 처리)그래서 이벤트는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했는가?여기서는 배달의 변경 사항을 잘 알려주는 것이다.4가지 구성요소 - 대상, 행동, 정보, 시간대상 : 식별자 정보 제공(배달이 A라이더에게 11시에 배차되었다)행동 : 이미 벌어진 사건이므로 과거형으로 표현(배달이 A라이더에게 11시에 배차되었다)정보 : 행위와 관련된 값들을 표현 (배달이 A라이더에..

L4, L7

L4, L7둘 다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OSI 7계층을 알면 좋음.L4기능전송 계층에 해당한다.주로 TCP, UDP 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송신자와 수신자의 IP주소 및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한다.로드 밸런싱L4 로드 밸런서는 트래픽을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준으로 분산한다.그래서 요청을 여러 서버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는 있지만 요청의 내용은(헤더나 데이터를 통한 확인) 검사하지 않는다.장점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간단한 처리다양한 종류의 트래픽(TCP/UDP 등) 처리 가능제한위에서 보듯 포트 번호를 기준으로 분산하고 헤더나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아서 애플리케이션 상태 혹은 사용자 세션에 기반한 로드 밸런싱은 어렵다.L7기능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