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123

[백준 2258번] 정육점 - java

문제 설명 1. 고기의 수 N과 필요한 고기의 무게 M이 주어진다. 2. 고기의 무게과 가격이 주어진다. 3. 구매한 고기보다 싼 고기는 공짜로 준다. 4. 가장 적은 돈을 들여서 고기를 사는 방법을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이거 실버1인거 보고 방심하고 풀었는데...... 진짜 엄청 헤맸다. 쉽게 보고 풀면 안되는 함정문제이다. 2. 구매한 고기보다 싸면 공짜로 주니까 그냥 가격순으로 오름차순 하면서 더해주면 되겠지? 했는데 싼 고기라는게 굉장히 중요하다. 3. 즉, 구매한 고기랑 같은 가격의 고기는 공짜로 안준다!!!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여 가격이 같으면 무게는 내림차순으로 가게끔 으로 만들어 준다. B. 이 우선순위 큐가 끝날 때 까지 무게를 구해..

알고리즘 공부 2022.04.10

[백준 11509번] 풍선 맞추기 - java

문제 설명 1. 풍선의 수 N이 주어진다.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화살을 쏘고, 풍선을 맞추게 되면 높이가 1줄어서 화살이 날아가게 된다. 3. 아래높이의 풍선이 있으면 또 이걸 터트리고 높이가 1 줄어든다. 4. 최소의 화살개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그리디...겠지? 나는 걍 해쉬맵으로 구현했다. 2. 풀이 과정은 이렇게 했다. A. 풍선을 처음부터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HashMap에 해당 높이에 있는 화살이 있는지 먼저 파악해준다. B. 해당 높이에 화살이 없으면 쏴야하는 화살의 개수는 하나 늘고, 만약에 있으면 해당 높이의 화살을 하나 없애준다. C. 어쨌든 이 화살은 풍선을 맞추었으니, 아래 높이의 화살로 변경될것이다. D. 참고로, HashMap은 처음 풍선들의 위치를 받을때마다 ..

알고리즘 공부 2022.04.09

[백준 13164번] 행복 유치원- java

문제 설명 1. 학생의 수 N, 조의 수 K가 주어진다. 2. N명의 학생은 오름차순으로 주어지고, K개의 조로 나누어야 한다. 3. 티셔츠를 맞추는 비용은 각 조에서 가장 키가 큰 원생과 가장 작은 원생의 차이만큼 주어진다. 4. 최소의 비용을 구하면 되는 문제이다. 풀이 과정 1. 그리디 문제이고, 이 문제랑 거의 똑같은 로직을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 2. 풀이 방법은 거의 똑같은데, 설명하면 이와 같다. A. 학생 수가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N명의 학생에 대해 키 차이를 구해준다. B. N-1개의 키차이의 배열이 주어질 텐데 이를 우선순위 큐에 하나씩 넣어준다. 우선순위 큐는 내림차순으로 정리된다. C. K개의 조로 이루어져 있고, 최소의 가격을 구해야 하므로 조를 구할 때 ..

알고리즘 공부 2022.04.09

[백준 5557번] 1학년 - java

문제 설명 1. N개의 숫자가 주어진다. 2. 맨 뒤의 숫자는 결과값이며, +와 -를 사용해가면서 숫자를 만든다. 3. 만들어지는 숫자는 0~20사이의 정수이다. 4. 마지막의 결과값을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처음에는 완전탐색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이거 완탐으로 절대 못푼다. 시간초과가 엄청 날것이다. 2. DP를 사용해서 진행한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A DP는 이중 배열을 사용하여 [해당process숫자][만들어지는수사] = 가능한 경우의 수 를 저장하도록 한다. B 맨 처음 숫자는 당연히 [0][첫번째입력숫자] = 1일 것이다. C 나는 DP와 완전탐색을 약간 합친 방법을 통해 구현하였는데, 다음번의 경우를 구하려면 이전의 DP에서 만들어진 경우의..

알고리즘 공부 2022.04.07

List와 Set의 차이점, 활용

List랑 Set의 차이가 뭘까?? 그리고 둘의 차이점에서 어떤 활용이 가능할까?? 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List는 순서가 존재하고 Set은 순서가 없다. 예전글에서 LinkedList와 ArrayList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중 하나로 나온것이 바로 '순서’이다. List는 순서를 가지며, 데이터가 이 순서에 맞추어 쌓아진다. 코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fact = new ArrayList(); fact.add("ryoo"); fact.add("chan"); fact.add("is"); fact.add("genius!"); fact.add("He")..

이론 정리/java 2022.04.06

[백준 2631번] 줄세우기- java

문제 설명 1. N개의 학생이 있다. 2. 학생들을 키순서대로 세워야 한다. 3. 키순서로 세우기 위해 이동시켜야 하는 학생의 최소 숫자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DP를 통해서 진행한다.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문제의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한다. 이전 문제를 풀어봤으면 사실 그 하위호환 문제이다. 근데왜 같은 골5...? 2. 옮길 학생이 아니라, 움직이지 않을 학생수를 구하자! 예를 들어 여기 문제처럼 3 7 5 2 6 1 4 를 보면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로 구하면 3 - 5 - 6 이렇게 학생들을 보면 얘네가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이고, 움직이지 않을 최대 숫자이다. 3. 그럼 이제 나머지 애들을 움직여주면 된다. 코드

알고리즘 공부 2022.04.06

[백준 2565번] 전깃줄- java

문제 설명 1. N개의 전깃줄이 있고, 이 전깃줄은 A전봇대와 B전봇대를 연결한다. 2. 전깃줄은 교차되는 경우가 있고, 교차되어서는 안된다. 3. 그렇기 때문에 교차되는 전깃줄을 없애주어야 한다. 4. 교차되는 전깃줄이 없도록, 전깃줄을 제거해주는 최소 개수를 return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DP를 통해서 진행한다. 처음에 생각하는것이 조금 어려운데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문제의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한다. 2. 위의 그림을 통해 확인해 보면, A전봇대의 숫자에 대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이곳에서 B와 연결할 때에 큰 위의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적용하면 교차하지 않는 전선의 개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에 대해 말하자면 A 처음 전봇대 기준으로 만약 1 - 8 이 연결..

알고리즘 공부 2022.04.06

[백준 23352번] 방탈출 - java

문제 설명 1. NxM크기의 격자판이 주어진다. 2.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각 방의 이동은 최단 경로로 움직인다. 3. 이렇게 최단 경로로 움직여서 가장 먼 거리를 움직이면, 그 시작점과 도착점이 비밀번호가 된다. 4. 가장 먼 거리가 여러개면 그 중 시작점과 도착점의 합이 큰 것이 비밀번호가 된다. 풀이 과정 1. 최단 경로 -> BFS 그냥 공식처럼 외워서 진행하자. 2. 우리는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최고로 가까울지 모른다. 그러므로 모든 점에 대해 그곳부터 시작하는 경우를 싹 다 구해야 할 것이다. 이 말은 완전탐색 + BFS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3. BFS를 통해 나아가면서, 해당 위치가 마지막인지 어떤지 모르므로 매번 거리를 재서 진행하는것이 속편할 것이다. 이는 BFS여서 쉽게..

알고리즘 공부 2022.04.05

Java의 Optional 클래스

자바 사용중 가장 많이 만나는 에러 중 하나가 바로 널 에러이다.(NPE - Null Pointer Exception) 개인적으로 Springboot의 JPA를 사용해서 값을 가져올 때에 이 null처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Java8 이전까지 NPE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들 중 하나를 택해야 했다. 예외 출력 예외를 던지는 것인데, 이것은 정말 예외가 발생하는 상황에 사용하도록 한다. null 반환 null을 실제로 받아오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처리하였는데, 이 로직을 수행하는 데에 코드가 복잡해 질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값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Java8 버전부터 Optional클래스를 사용하여 이 NPE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론 정리/java 2022.04.03

싱글톤(Singleton) 패턴에 관하여

Singleton Pattern이란,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최초 한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 이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주로 DBCP(DataBase Connection Pool)처럼 공통 객체를 여러개 생성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쓴다. 싱글톤 패턴의 장점 위에서 설명했듯, 싱글톤 패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단 하나의 인스턴스를 한 번만 할당하게 된다. 따라서 만들어진 메모리 영역에 new연산자를 통해 접근하게 되면 이 접근에 대해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처음에 실행 시 만들어진 인스턴스에 접근만 하면 되므로 속도 측면에도 이득이 있다. 그리고 클래스 간 데이터 공유를 원할하게 해 준다. 싱글톤 패턴으로 만들어진 인스턴스는 static 전역 변수이기 때문이..

이론 정리/java 202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