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123

java hashmap의 시간복잡도에 관해서

HashMap은, Map인터페이스의 컬렉션 중 하나이다. 이 HashMap은 key-value로 하나의 key가 하나의 value를 갖도록 한다. 이전에 ArrayList와 LinkedList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작성한 적이 있다. 각각의 내용들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두 자료구조 모두 값을 읽어오거나 변경할 때에 시간복잡도를 고려해줄 필요성이 있었다. 근데 이 HashMap은 값을 넣거나 변경할 때 모두 시간복잡도가 O(1)이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 Put의 시간복잡도 HashMap의 동작 방식 위에서 설명하였듯 HashMap은 하나의 key가 하나의 value를 갖는다. 이 key를 찾아가기 위해서 어떠한 key가 입력되면 java에서는 이곳에 해시함수를 적용시켜 고유 index를 만든다. 예..

이론 정리/java 2022.12.25

generic

java 제네릭(generic) type? Data type을 일반화한다는 의미. generic을 사용해서 컴파일 하는 동안 클래스 혹은 메서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 해당 클래스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타입을 외부에서 지정한다. 데이터 타입을 미리 지정한다?? 한번 보여드림ㅇㅇ 일단 위에서 설명한것처럼 generic은 클래스 혹은 메서드 에서 사용하는 친구이다. class RyooChan { private T intelligence; void setIntelligence(T intelligence) { this.intelligence = intelligence; } T getIntelligence() { return intelligence; } }참고로 이거는 Type이라 T..

이론 정리/java 2022.12.22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 인스턴스를 오직 한개만 제공하는 클래스 인스턴스를 오직 한개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하나의 인스턴스에 글로벌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제 설정이나 그런것들은 싱글톤으로 해주면 될것이다. private Settings() {} private static Settings instance; public static Settings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이렇게 해주면 instance를 필요할 때에 getInstance를 호출해서 만들어 줄 것이다. 근데 싱글톤은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가질수 있다고 했다. 어떻게 이 싱글톤 패턴을 구현해 줄까? 1. private 생성자에 static메소드를 사용해서 싱글톤 구현 private Setting..

이론 정리/java 2022.12.06

java의 volatile

java의 volatile java변수를 Main Memory에 저장하겠다는 것이다. 이게 뭐냐...하면 말그대로 main memory에 값을 저장한다는거다. 사실 이거 이해하려면 cache에 대해서 조금 알고오면 편하다. 자바는 사실 값을 저장하거나 읽어올 때에 이거를 CPU cache를 통해 진행한다. 이렇게 되면 속도에 이득이 필요하지만...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멀티 쓰레드에서의 CPU cache 문제 MultiThread에서는 보통 Task동안 Main Memory에 있는 값을 CPU에 Caching한다. 그리고 이거를 읽거나, 쓰거나 등등의 연산을 취하게 되는데 Main Memory에 특정 값이 저장되어 있다. (RyooChan = "Genius") 1번 쓰레드가 M..

이론 정리/java 2022.12.06

Go의 GC에 대해 (feat. java)

GC가 일단 뭔데? C/C++을 배웠던 사람은 알텐데 얘들은 메모리를 사용할 때 필요할 때에 생성하고, 필요가 다하면 해제해 주었다. 이는 메모리의 관리 측면에서 굉장히 좋지만(쓸데없이 메모리를 먹는 애들이 없으니까 퍼포먼스가 뛰어나다) 매번 이를 적절하게 할당하고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귀찮다. 그래서 매번 메모리를 해제하는걸 그냥 해주는 녀석이 생겨났고, 이녀석이 Garbage Collector 즉 GC이다. STW : Stop The World GC의 동작동안 다른 쓰레드의 작업은 모두 중단된다. 즉, 가비지 컬렉터가 동작하게 되면 모든 작업이 멈추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STW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로 GC튜닝이다. java에서의 GC 한국에서 웹개발을 할 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보..

Java에서 기본 타입과 참조 타입의 차이

Java에서 기본 타입과 참조 타입의 차이 기본 타입(Primitive Type)이란? == 원시 타입 우리가 실제로 데이터 값을 저장할 때에 사용하는 값이다. 정수형 int, long, short, byte ... 실수형 float, double 문자형 char 논리형 boolean 참조 타입(Reference Type)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이다. 즉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하는 타입이라 할 수 있다. String, Long, Integer ... 배열, Enum,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을 사용해서 선언한 변수는 메모리 값을 가지게 되는데, 이런 애들을 참조 타입이라 한다. 둘 간의 간단한 차이 저장 장소의 차이 기본 타입은 스택 영역에, 참조 타..

이론 정리/java 2022.05.15

[백준 2133번] 타일 채우기 - java

문제 설명 1. 3XN 크기의 벽을 2X1, 1X2 타일로 채우는 경우의 수를 구해보자! 2. 문제 길이가 겁나 짧다... 그냥 이게 다임 풀이 과정 1. DP문제이다. 참 이 문제는...고민할 내용은 정말정말정말정말 많지만 코드로 구현하면 뭐가 이렇게 짧지? 하는 기분을 준다. 2. DP를 푸는 방법은 개인적으로 처음부터 무식하게 들이박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이 든다. 3X1의 타일의 경우는 못구한다. 3X2의 타일의 경우는 얘네 셋이 나올 것이다. 3X3의 타일의 경우는 못구한다. 3X4의 타일의 경우는 저 위에있는 3X2 타일에다가 추가로 3X2타일을 붙이면 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방식 말고도 다른 방식으로 타일을 채울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런 애들이 추가로 나타나게 될 것이..

알고리즘 공부 2022.05.15

[백준 14940번] 쉬운 최단거리 - java

문제 설명 1. 지도의 N과 M이 주어진다. 2. 가로세로(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0은 못가는땅 1은 갈수있는땅 2는 목표지점이다. 3. 2에서 시작해서 도달 가능거리를 구한다. 4. 갈수있으면 도달까지 거리, 원래 갈수없으면 0, 원래 갈 수 있는데 못가면 -1을 출력한다. 풀이 과정 1. BFS로 풀어나간다. 2. 그냥 거리를 구하는것은 사실 간단하다. 기본적인 BFS를 사용해주면 된다. 3. 문제 설명의 4번과정에 관해서 조금 생각을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내 풀이보다 분명히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겠지만, 이렇게 해도 시간복잡도에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서 진행해 주었다.(코테의 시간복잡도에서는 안걸릴 방법이기 때문)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목표지점 2는 딱 한번 주어진..

알고리즘 공부 2022.04.19

[백준 12934번] 턴 게임 - java

문제 설명 1. 숫자 x와 y가 주어진다. 2. 턴은 1부터 시작하고, n번째 턴의 승리자는 n점을 얻는다. 3. x와 y에 대해 각각의 점수를 얻는것이 불가능하면 -1출력 4. 가능하면, x점수를 얻는 최소한의 승리횟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1, 2, 3, 4, 5, 6, ..... 의 점수를 얻는 방법은 (N*(N+1))/2 이다. 이것만 알면 간단하다. 2. 사실상 수학적 구현 문제이다. 3. 참고로 이거 숫자가 long형식이니까 주의하자.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x와 y의 합계점수에 대해, 여기 정확히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해당 숫자보다 작으면 그보다 큰 숫자로 (N*(N+1))/2을 시도하고, 만약 이게 x+y보다 크면 불가능할것이다. B. (N*(N+1))..

알고리즘 공부 2022.04.19

보일러플레이트란 무엇일까?

보일러 플레이트란? 먼저 보일러 플레이트는 신문사업에서 나온 말인데, 본래 텍스트 인쇄판은 납같은 부드러운 것으로 찍었는데, 광고나 칼럼 등 한번 만들어놓고 계속해서 사용되는 내용에 관한 판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강철로 찍어서 출시했다. 그것을 Boilerplate라고 불렀고, 이는 한번 만들어두고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는 한국인이니까 대충 금속활자같은걸 생각하면 될것같다. ㄱㄴㄷㄹㅁㅂㅅ 이런 자주 쓰이는것을 금속으로 만들어두면 계속 쓸수있는 느낌이다. 개발에서의 보일러 플레이트는? 예전에는 개발을 할 때에 Getter이나 Setter을 모든 변수에 대해 하나하나 세팅을 해주었다. 이런식으로 세팅하는것은 굉장히 귀찮고 솔직히 도움도 되지 않았다. 그리고 @Getter, @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