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5

OSIV와 성능 최적화

Open Session In View : 하이버네이트 Open EntityManager In View : JPA (관례상 OSIV라 한다.) OSIV ON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warn문구가 출력된다. 2022-03-15 11:23:35.504 WARN 11052 ---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

[백준 14940번] 쉬운 최단거리 - java

문제 설명 1. 지도의 N과 M이 주어진다. 2. 가로세로(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0은 못가는땅 1은 갈수있는땅 2는 목표지점이다. 3. 2에서 시작해서 도달 가능거리를 구한다. 4. 갈수있으면 도달까지 거리, 원래 갈수없으면 0, 원래 갈 수 있는데 못가면 -1을 출력한다. 풀이 과정 1. BFS로 풀어나간다. 2. 그냥 거리를 구하는것은 사실 간단하다. 기본적인 BFS를 사용해주면 된다. 3. 문제 설명의 4번과정에 관해서 조금 생각을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내 풀이보다 분명히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겠지만, 이렇게 해도 시간복잡도에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서 진행해 주었다.(코테의 시간복잡도에서는 안걸릴 방법이기 때문)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목표지점 2는 딱 한번 주어진..

알고리즘 공부 2022.04.19

[백준 12934번] 턴 게임 - java

문제 설명 1. 숫자 x와 y가 주어진다. 2. 턴은 1부터 시작하고, n번째 턴의 승리자는 n점을 얻는다. 3. x와 y에 대해 각각의 점수를 얻는것이 불가능하면 -1출력 4. 가능하면, x점수를 얻는 최소한의 승리횟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1, 2, 3, 4, 5, 6, ..... 의 점수를 얻는 방법은 (N*(N+1))/2 이다. 이것만 알면 간단하다. 2. 사실상 수학적 구현 문제이다. 3. 참고로 이거 숫자가 long형식이니까 주의하자.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x와 y의 합계점수에 대해, 여기 정확히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해당 숫자보다 작으면 그보다 큰 숫자로 (N*(N+1))/2을 시도하고, 만약 이게 x+y보다 크면 불가능할것이다. B. (N*(N+1))..

알고리즘 공부 2022.04.19

Intellij 꿀팁

프론트엔드 바로 적용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Test바로 만들기 ctrl + shift = T junit4 써서 하는게 나을듯 Test에서 사용할 TDD미리 정의하기 파일 -> 설정 -> 에디터 -> 라이브템플릿 아래 코드 적용후 변경 클릭 -> 적용할 위치 설정하기 @Test public void $NAME$() throws Exception { //given $END$ //when //then } -> given이 주어졌을 때 -> when을 하면 -> then이 된다!! extract에서 바로 변수 뽑아오기 -> 결과 적으면 알아서 변수 만들어주기 ctrl + alt + v 쿼리 확인하기 팁 logging.le..

기타 2022.04.17

보일러플레이트란 무엇일까?

보일러 플레이트란? 먼저 보일러 플레이트는 신문사업에서 나온 말인데, 본래 텍스트 인쇄판은 납같은 부드러운 것으로 찍었는데, 광고나 칼럼 등 한번 만들어놓고 계속해서 사용되는 내용에 관한 판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강철로 찍어서 출시했다. 그것을 Boilerplate라고 불렀고, 이는 한번 만들어두고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는 한국인이니까 대충 금속활자같은걸 생각하면 될것같다. ㄱㄴㄷㄹㅁㅂㅅ 이런 자주 쓰이는것을 금속으로 만들어두면 계속 쓸수있는 느낌이다. 개발에서의 보일러 플레이트는? 예전에는 개발을 할 때에 Getter이나 Setter을 모든 변수에 대해 하나하나 세팅을 해주었다. 이런식으로 세팅하는것은 굉장히 귀찮고 솔직히 도움도 되지 않았다. 그리고 @Getter, @Set..

[백준 2258번] 정육점 - java

문제 설명 1. 고기의 수 N과 필요한 고기의 무게 M이 주어진다. 2. 고기의 무게과 가격이 주어진다. 3. 구매한 고기보다 싼 고기는 공짜로 준다. 4. 가장 적은 돈을 들여서 고기를 사는 방법을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이거 실버1인거 보고 방심하고 풀었는데...... 진짜 엄청 헤맸다. 쉽게 보고 풀면 안되는 함정문제이다. 2. 구매한 고기보다 싸면 공짜로 주니까 그냥 가격순으로 오름차순 하면서 더해주면 되겠지? 했는데 싼 고기라는게 굉장히 중요하다. 3. 즉, 구매한 고기랑 같은 가격의 고기는 공짜로 안준다!!! 4. 이를 생각하고 풀이과정을 도출해보자 A.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여 가격이 같으면 무게는 내림차순으로 가게끔 으로 만들어 준다. B. 이 우선순위 큐가 끝날 때 까지 무게를 구해..

알고리즘 공부 2022.04.10

[백준 11509번] 풍선 맞추기 - java

문제 설명 1. 풍선의 수 N이 주어진다.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화살을 쏘고, 풍선을 맞추게 되면 높이가 1줄어서 화살이 날아가게 된다. 3. 아래높이의 풍선이 있으면 또 이걸 터트리고 높이가 1 줄어든다. 4. 최소의 화살개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그리디...겠지? 나는 걍 해쉬맵으로 구현했다. 2. 풀이 과정은 이렇게 했다. A. 풍선을 처음부터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HashMap에 해당 높이에 있는 화살이 있는지 먼저 파악해준다. B. 해당 높이에 화살이 없으면 쏴야하는 화살의 개수는 하나 늘고, 만약에 있으면 해당 높이의 화살을 하나 없애준다. C. 어쨌든 이 화살은 풍선을 맞추었으니, 아래 높이의 화살로 변경될것이다. D. 참고로, HashMap은 처음 풍선들의 위치를 받을때마다 ..

알고리즘 공부 2022.04.09

[백준 13164번] 행복 유치원- java

문제 설명 1. 학생의 수 N, 조의 수 K가 주어진다. 2. N명의 학생은 오름차순으로 주어지고, K개의 조로 나누어야 한다. 3. 티셔츠를 맞추는 비용은 각 조에서 가장 키가 큰 원생과 가장 작은 원생의 차이만큼 주어진다. 4. 최소의 비용을 구하면 되는 문제이다. 풀이 과정 1. 그리디 문제이고, 이 문제랑 거의 똑같은 로직을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 2. 풀이 방법은 거의 똑같은데, 설명하면 이와 같다. A. 학생 수가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N명의 학생에 대해 키 차이를 구해준다. B. N-1개의 키차이의 배열이 주어질 텐데 이를 우선순위 큐에 하나씩 넣어준다. 우선순위 큐는 내림차순으로 정리된다. C. K개의 조로 이루어져 있고, 최소의 가격을 구해야 하므로 조를 구할 때 ..

알고리즘 공부 2022.04.09

MA(모놀리식)와 MSA에 관하여

MA(Monolithic Architecture) 사전상으로 monolithic이란 단단히 짜여 하나로 되어 있는 정의되어 있다. 그 말 자체에서 알 수 있듯, 모놀리식 아키텍쳐란 전체 서비스를 하나의 서버에서 구동시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모든 서비스가 완전히 통짜로 짜여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굉장히 많은 기업에서 아직 사용중인 방법이며, 명확한 장단점이 존재한다. MA의 장점 먼저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동작한다. 즉 개발 진행에 있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End-to-End 테스트가 간편하다. MA의 단점 유지보수할 때에 어려움이 따른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모든 서비스가 동작하기 때문에 이를 고치기 위해서는 많은 내용들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CDCI를 진행할 때에도, ..

이론 정리 2022.04.07

[백준 5557번] 1학년 - java

문제 설명 1. N개의 숫자가 주어진다. 2. 맨 뒤의 숫자는 결과값이며, +와 -를 사용해가면서 숫자를 만든다. 3. 만들어지는 숫자는 0~20사이의 정수이다. 4. 마지막의 결과값을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된다. 풀이 과정 1. 처음에는 완전탐색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이거 완탐으로 절대 못푼다. 시간초과가 엄청 날것이다. 2. DP를 사용해서 진행한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A DP는 이중 배열을 사용하여 [해당process숫자][만들어지는수사] = 가능한 경우의 수 를 저장하도록 한다. B 맨 처음 숫자는 당연히 [0][첫번째입력숫자] = 1일 것이다. C 나는 DP와 완전탐색을 약간 합친 방법을 통해 구현하였는데, 다음번의 경우를 구하려면 이전의 DP에서 만들어진 경우의..

알고리즘 공부 2022.04.07